분류 카테고리 (93) 썸네일형 리스트형 [Android] Android Studio의 open file list 가 안보일때 이게 뭔 소린가 싶지만 소스 파일들을 클릭했을 때 상단에 클릭했던 파일들이 보여지지 않을때? 아무튼 Material Theme로 변경했는데 상단에 노란색으로 표시한 것 처럼 파일트리?가 안보였다ㅠ 저 부분의 이름이 뭔지 몰라서 계속 구글에 open file list jetbrains file list fix 이런식으로 계속 검색해봤는데 사실 tab 이었다 상단의 Window -> Editor Tabs -> Configure Editor Tabs 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Tab placement 가 None 로 되어있어서 설정이 안되어있던 것 Top 으로 변경해주면 다시 되돌아온다! 야호! [Android] Firebase Realtime Database를 REST로 사용할 때 key값에 "이제는" 접근한 사람 지난 포스팅에서 key값으로 저장했을 때 접근하지 못해서 0, 1, 2와 같은 list의 형태로 저장을 해놓은 과거의 나 근데 이제 알아냈어요! 사진에서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의 key 값인 -My1CqVip8Y4pDNElxAQ, -MyDS0h0VDWRyWT_vF2g에 접근하려고 하였는데 지난번에는 실패했습니다ㅠ 시도한 방법 data class FriendListDAO( @SerializedName("name") val friendInfo: List ) data class FriendDAO( @SerializedName("key") var key: String = "", @SerializedName("name") val name: String = "", @SerializedName("image_path").. [android] Firebase Realtime Database를 REST로 사용할 때 key값에 접근하지 못한 사람 프로젝트를 수정하려다가 firebase도 restAPI로 사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안되는 줄 알았던 것은 비밀) 근데 제목을 어떻게 지어야할지를 모르겠다. 아무튼 시작~! coroutine을 사용하면서 restAPI로 변경하고 있었는데 의도치않게 시간을 많이 보낸 부분이 있었다. 사진을 보기쉽게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친구 key는 firebase에서 생성해주는 key값이다. 위의 데이터를 json으로 표시하게되면 이렇게 표시가 된다. 그래서 그게 뭐가 문제였는데? 이게 뭐가 문제야?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으나, 친구의 key값을 data class에 어떻게 대입을 시켜서 가져와야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되었다. 왜냐면 따로 정해진 name이 없을뿐더러, 검색을 해보았을 때 내가 원.. [Android] RecyclerView의 호출 순서 면접을 보게되었는데, 신경쓰지 않고 있었던 RecyclerView의 순서에 대해 질문이 들어왔다. 항상 RecyclerView의 adapter를 구현할 때마다 반드시 오버라이드 해야 하는 메서드는 3개 그런데 한 개의 중요한 메서드가 또 있었다! getItemViewType() 사실 나도 선물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하며 사용했었던 메서드였는데 그때는 처음 들은 것 처럼 또잉,,? 그것이 모지,,?라는 생각이 가득했다. 그래서 호출 순서를 정리해보아야겠다. 주로 오버라이드하여 사용되는 메서드는 4개! onCreateViewHolder() public final VH 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 } 👉 정의한 ViewHolder를 생성하고 .. 풀다보니 재밌는 알고리즘 문제풀이 회사에 지원을 하면서 코딩테스트는 필수로 있는 요즘 그래서 코딩테스트때문에 발목잡히는 일은 없어야겠다 싶어서 차근차근 공부를 하고 있는데말이죠. 이게 풀다보니 풀리니까 재미가 있네요? 특히 BFS랑 DFS는 예전에는 엥?이게뭐지,, 풀이를 이해를 못하고 냅다 외우려고해서 금방 포기했는데 이해를 하고나니까 '아 이렇게 풀면 되겠다'라고 생각하는 힘이 길러지는 것 같더라고요. 어쨌든 요즘엔 재밌다! 이 기세로 남은 코딩테스트 해치워보자~~! [Senty] 선물 기록 어플리케이션 - 출시 이 어플을 만들며 처음부터 가지고 있었던 목표는 배포, 출시였다. 부족한 부분이 생겨 계속 수정하다가는 배포를 못해보겠다 싶어서 어느정도 생각했던 기능들이 돌아가는 지금, 앱을 출시해보았다. 매번 build만 해보았지 apk로 만드는 과정은 처음이었다. 앱에 광고를 붙여보는 것도 처음이었다. 근데도 얼른 해보고싶어서 새벽내내 붙잡고 있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얼른 검토가 완료되어 세상에 보여졌으면 좋겠다. 사실 수정해야 할 부분도, 성능적으로 부족한 부분도 많지만 출시하고나서 업데이트해도 괜찮지 않겠나? (쭈굴 + 우악 여러분 저 검토 끝났어요! 16일에 검토시작해서 19일에 검토가 끝난 것 같아요! 대략 3일정도 걸린듯! 기분 진짜 장난 아닌데요? 너무 신나서 미치겠네요 Uni-Directional Architecture GDSC에서 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UDA를 바탕으로 진행하신다고 하셔서 공부하게 되었다! 사실 MVP, MVC, MVVM만 들어봤지 UDA? 완전 생소 그 자체였다. 그런데 한번 정독하고나서야 생각보다 머릿속으로 잘 그려지는 것 아닌가? 신기했다! Unidirectional data flow on Android: The blog post (part 1). Learning how we can implement unidrectional data flow architecture on Android proandroiddev.com 위의 사이트를 해석해가며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블로그에도 기록해보려고 한다! 아자자! Uni-Directional? Uni : '하나'의 뜻을 가진 접두사 Direc.. 프로젝트의 과정을 작성하는 이유 굳이굳이 블로그에 프로젝트의 과정을 작성하는 이유는 뭘까? 1. 말 그대로 프로젝트의 과정이 기록으로 남겨진다. 2.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갈피를 잡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프로젝트의 과정이 기록으로 남겨진다. 프로젝트를 하며 했던 생각들, 고민들을 작성함으로써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다는 것 블로그에 남기면서 전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는 것 나중에 언젠가는 경력이 쌓여 5년차~ 10년차~ 이렇게 될텐데 되돌아보면 재밌을 것 같아서! 그리고 무엇보다 기록하는 걸 좋아라하기때문 아직 거창한 걸 만든 경험도, 결과물로 나온 어플도 없긴하지만 그럼에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갈피를 잡을 수 있으면 좋겠다. 처음에 안드로이드 어플을 만들어봐야겠다라고 생각했을 때 흔히들 '한번 만들어봐라'라고 얘기는 하지만 그..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